교수

교수진

 프로필 사진
이름
허지원 (Ji-Won Huh)   이메일아이콘
전공
마이크로바이옴
연락처
연구실
환경관리동 205호

경력

- 2023.9 ~ 현재  충남대학교 조교수

- 2021.3 ~ 2023.8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 2020.3 ~ 2021.2  연세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2017.3 ~ 2020.2  POSTECH 박사후연구원

연구업적

- Kim KH§, Chung Y§, Huh JW§, Park DJ, Cho Y, Oh Y, Jeong H, Yoon J, Kang JH, Shin HS, Kim HC, Kwon SK, Seo KY, Oh SH, Seong JK, Ha SJ, Nam KT, Kim JF. Gut microbiota of the young ameliorates physical fitness of the aged in mice. Microbiome. 2022 Dec 26;10(1):238. doi: 10.1186/s40168-022-01386-w. (§co-first;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선정)

- Huh JW, Kim MJ, Kim J, Lee HG, Ryoo SB, Ku JL, Jeong SY, Park KJ, Kim D, Kim JF, Park JW. Enterotypical Prevotella and three novel bacterial biomarkers in preoperative stool predict the clinical outcome of colorectal cancer. Microbiome. 2022 Nov 28;10(1):203. doi: 10.1186/s40168-022-01388-8.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선정)

- Song HS, Park S, Huh JW, Lee YR, Jung DJ, Yang C, Kim SH, Kim HM, Kim YM. N-glycosylation of UNC93B1 at a Specific Asparagine Residue Is Required for TLR9 Signaling. Front Immunol. 2022 Jul 7;13:875083. doi: 10.3389/fimmu.2022.875083. 

- Huh JW, Roh TY. Opportunistic detection of Fusobacterium nucleatum as a marker for the early gut microbial dysbiosis. BMC Microbiol. 2020 Jul 13;20(1):208. doi: 10.1186/s12866-020-01887-4.

- Kang W, Park A, Huh JW, You G, Jung DJ, Song M, Lee HK, Kim YM. Flagellin-Stimulated Production of Interferon-β Promotes Anti-Flagellin IgG2c and IgA Responses. Mol Cells. 2020 Mar 31;43(3):251-263. doi: 10.14348/molcells.2020.2300. 

- Park C, Lee SA, Hong JH, Suh Y, Park SJ, Suh BK, Woo Y, Choi J, Huh JW, Kim YM, Park SK. Disrupted-in-schizophrenia 1 (DISC1) and Syntaphilin collaborate to modulate axonal mitochondrial anchoring. Mol Brain. 2016 Jul 2;9(1):69. doi: 10.1186/s13041-016-0250-2. 

- Huh JW§, Shibata T§, Hwang M, Kwon EH, Jang MS, Fukui R, Kanno A, Jung DJ, Jang MH, Miyake K, Kim YM. UNC93B1 is essential for the plasma membrane localization and signaling of Toll-like receptor 5. Proc Natl Acad Sci U S A. 2014 May 13;111(19):7072-7. doi: 10.1073/pnas.1322838111. (§co-first;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선정)

- Kim J, Huh JW, Hwang M, Kwon EH, Jung DJ, Brinkmann MM, Jang MH, Ploegh HL, Kim YM. Acidic amino acid residues in the juxtamembrane region of the nucleotide-sensing TLRs are important for UNC93B1 binding and signaling. J Immunol. 2013 May 15;190(10):5287-95. doi: 10.4049/jimmunol.1202767.

관심분야

- 인체 마이크로바이옴과 건강상태 및 질병의 연관성

- 동식물/환경 마이크로바이옴과 개체 특성의 연관성

-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질병의 진단 및 계층화(stratification), 그리고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로의 적용 

- 생리활성 미생물 및 유래 대사물질의 탐색과 기저 메커니즘 규명

중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실(Translational Microbiome Lab.)

- 인간은 자신의 체세포 보다 많은 미생물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이득을 주고 받는 초개체(superorganism)입니다. 미생물의 집합인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는 숙주의 유전정보와 건강상태, 식단, 운동, 약물 복용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고, 때로는 긍정적으로, 때로는 부정적으로, 숙주의 생리작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 미생물의 총체적 유전정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기존 숙주 중심 생물학에서 탐구하지 않았던 새롭고 가치있는 정보층을 제공하고, 숙주의 면역/대사시스템의 주요 조절인자로서 높은 활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중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실은 16S rRNA 유전자 앰플리콘 시퀀싱, 메타유전체 시퀀싱, 세포생물학 실험 등을 활용하여, 건강인, 질환자, 동식물, 토양, 해양 등 다양한 환경의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고, 환경 특성과 연관된 미생물 및 미생물 유전인자, 대사물질을 탐색하며, 내재된 세포/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을 규명하여, 궁극적으로 임상적 또는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